MEDIA CENTER
21일 산·학·연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 발족
기술교류 바탕으로 인증제 마련·투자 활성화 유도
21일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 발족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왼쪽에서 여섯 번째)을 비롯해 산·학·연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 산업의 발전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팔을 걷어붙였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1일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산·학·연이 함께하는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의회 발족에는 자율협력주행 산업이 활기를 띠고 있는 최근의 세계 동향이 영향을 끼쳤다. 국토부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들과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2020~2022년쯤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을 개발 중이며, 오는 2035년에는 세계시장 규모가 1조1520억달러(약 1234조1376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국토부 장관과 민간 부문 4인을 공동의장으로, 자동차·인프라·정보통신 분야 100여개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발족해 관련 산업을 선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협의회는 당장 사업화 추진이 가능한 스마트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C-ITS(통신), 보안, 지도 3개의 기술 분과로 우선 구성됐으며, 기술 분과위 내부 기술교류를 바탕으로 인프라 관련 표준과 인증 제도를 마련해 인프라 산업 투자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기술이 어우러져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R&D 설명회, 전문가 컨설팅, 데이터 공유, 시험환경 제공 등을 정부 지원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향후 신규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요한 분과를 발굴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협의회 발족식과 함께 주요 기업의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현황과 사업추진 계획을 소개하는 1차 학술 토론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 삼성전자, SKT 등은 자사가 개발하고 있는 주요 기술과 중장기 사업계획을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협의회는 다음달 개최될 예정인 2차 학술 토론회에서는 자율주행 시대 보험제도, 자율주행차 제작?운행 관련 가이드라인(안), 도심 스마트 인프라 구축 시 민관 협력 방안 등을 주제로 다뤄 자율주행 시대를 위한 준비를 본격화한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다소 후발주자라는 평가가 있지만, 강점으로 꼽히는 인프라·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다면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고 세계를 선도해 나갈 수 있다”며 “본 협의회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같이 국민 피부에 와 닿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김광국 기자 kimgg@electimes.com